2025 대만 춘절 기간 & 여행 전 알아두어야 할 정보
한국에서 음력 설 연휴를 이용해 대만 여행을 하시는 분들 중에는 대만 최대의 명절 '춘절'로 인해 여행이 순조롭지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듯합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2025년 춘절 기간 여행시 알아두면 좋은 정보를 소개드립니다.
2025 대만 춘절(대만 설연휴) 기간
대만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을 큰 명절로 기념합니다. 대만에서는 이를 ‘춘절(春節; 중국어로 ‘춘지에’)’ 또는 ‘농력 신년(農曆新年)[‘농리신니엔’]’이라고 부르며, 전통적으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중요한 시기로 보내왔습니다.
2025년 춘절 연휴는 1월 25일(토)부터 2월 2일(일)까지, 총 9일간입니다. 특히 1월 28일인 ‘섣달그믐날 밤(除夕; 중국어로 ‘추시’)’은 가족과 함께 모여 명절을 시작하는 중요한 날로 간주됩니다. 대만 정부는 시민들의 귀성을 돕기 위해 1월 27일(월)을 임시 휴일로 지정했으며, 이에 따라 2월 8일(토)을 대체 근무일로 지정했습니다.
2025 대만 춘절(대만 설연휴) 볼거리 및 이벤트
1. 춘련(春聯)
대만 춘절 풍습 중 하나인 ‘춘련(春聯; 중국어로 ‘춘리엔’)’은 중화권에서 널리 행해지는 전통으로, 붉은 종이에 가족의 행복과 번영 등을 기원하는 글귀를 적은 것을 ‘춘련’이라고 하며, 이 춘련을 문이나 기둥에 붙입니다.
타이베이의 ‘행천궁(行天宮; 싱티엔꽁)’, 타이중의 ‘대장호천궁(大庄浩天宮; 따쫭하오티엔꽁)’, 먀오리의 ‘산변마조궁(山邊媽祖宮; 샨삐엔마주꽁)’ 등 유서 깊은 사찰, 타이베이의 원산대반점 호텔, 대만 총통부 등에서는 춘련을 무료로 배포합니다.
2. 홍빠오(紅包)
대만 춘절에서 빠질 수 없는 문화로는 ‘홍빠오(紅包)’, 즉 용돈을 담은 ‘빨간 봉투’를 들 수 있습니다. 명절뿐만 아니라 결혼식, 졸업식, 생일 등 다양한 축하 자리에서 축복과 감사의 의미로 ‘홍빠오’를 주고받습니다. 춘절 홍빠오의 봉투는 해마다 새로운 디자인으로 출시되는데, 2025년은 뱀띠 해를 맞아 뱀 무늬의 홍빠오로 디자인됩니다. 대만 전역의 편의점, 드럭스토어 등에서 판매되어 대만 여행 기념품으로도 좋습니다.
3. 연화대가(연말 시장)
춘절 전, 대만 곳곳에서는 ‘연화대가(年貨大街; 중국어로 ‘니엔후오따지에’)’라 불리는 연말 시장이 열립니다. 타이베이의 ‘디화제(迪化街)’의 연화대가가 가장 유명하며, 이 외에도 가오슝의 ‘산펑종제(三鳳中街)’, 타이중의 ‘티엔진루(天津路)’, 타이베이의 ‘난먼시장(南門市場)’ 등에서도 연화대가가 개최됩니다. 이 연말 시장에서는 춘련, 건어물, 과자 등을 비롯해 명절 준비를 위한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며, 축제와 같은 활기찬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주요 연화대가 일정
- 타이베이 디화제 연화대가: 1/11~1/27, 12:00-24:00(1/27은 23:30까지)
- 타이중 티엔진루 연화대가: 1/17~1/27, 평일 13:00-23:00, 주말 11:00-23:30
- 가오슝 산펑종제 연화대가: 1/11~1/28, 09:30-21:30
대만 춘절 음식
대만에서는 춘절에 좋은 의미를 담은 음식을 즐기며 복을 기원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떡: 중국어로 ‘루오뽀까오(蘿蔔糕)’라고 합니다. 대만어로 ‘무(菜頭; 차이터우)’와 ‘좋은 징조(彩頭; 차이터우)’의 발음이 같아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 중국식 채소절임: 중국어로 ‘창니엔차이(長年菜)’라고 하며, ‘갓(芥菜; 지에차이)’를 절인 것입니다.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 통닭: ‘행운’을 상징합니다.
- 생선: ‘풍요’를 상징합니다.
- 고기완자: ‘단란한 가정’을 의미합니다.
- 찐케이크: 중국어로 ‘파까오(發糕)’라고 하며 ‘번영과 부유’를 상징합니다. 표면이 갈라진 모습이 꽃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 만두: ‘대대손손(자손번영)’을 상징합니다. .
- 파인애플: 대만어로 ‘복이 들어온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 귤: 귤을 뜻하는 중국어의 ‘橘(쥐)’가 ‘길하다’는 뜻의 ‘지(吉)’과 발음이 비슷합니다.
- 과자: 좋은 뜻을 담아 선물로도 많이 주고받습니다.
루오뽀까오(蘿蔔糕)
대만어로 ‘무’를 뜻하는 단어인 ‘차이터우(菜頭)’와 ‘좋은 징조’라는 뜻의 ‘차이터우(彩頭)’가 발음이 같아, 행운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여겨지는 무떡입니다. 춘절뿐만 아니라 대만에서는 일상적인 아침 식사 메뉴로도 자주 즐겨 먹습니다. 특히, 대만식 아침 식사 가게에서 ‘딴삥(蛋餅)’ 등과 함께 주문할 수 있습니다.
파까오(發糕)
표면에 칼집이 나 있어 꽃이 핀 듯한 모양으로 ‘발전’과 ‘번영’을 상징하는 찐케이크 ‘파까오’. 갈라진 모양이 ‘웃는 얼굴’을 닮았다고 하며, 갈라진 정도가 클수록 더 큰 부유함을 가져다준다고 믿습니다. 부드러운 식감과 은은한 단맛이 매력적인 간식으로 평소에는 보기 어려운 만큼 ‘연화대가(연말 시장)’나 전통시장에서 발견하면 꼭 한번 드셔보시길 추천합니다.
니엔까오(年糕)
춘절에 먹는 찹쌀떡은 대만어로 ‘티꾸에(甜粿)’라 불리며, 중국어로는 ‘니엔까오(年糕)’라고 합니다. 이 단어는 ‘해마다 상승한다’는 뜻의 ‘니엔까오(年高)’와 발음이 같아 길한 음식으로 춘절에 챙겨 먹습니다. 쫀득하고 달달한 맛이 특징이며, 흑설탕, 팥, 땅콩 등을 넣은 변형도 있습니다. 찌거나, 튀기거나, 굽는 등 다양한 조리법이 있지만, 특히 튀긴 니엔까오를 추천합니다. 이 역시 ‘연화대가’나 전통시장에서 자주 만날 수 있습니다.
마라오(麻粩)[또는 ‘모아라우’]
‘라우(粩)’는 대만어로 ‘노인’을 뜻하는 ‘노(老)’와 발음이 유사해 장수를 상징하게 되었습니다. 춘절 간식입니다. 한과와 비슷한 느낌으로, 갓 튀겨낸 과자에 땅콩가루, 검은깨 등을 입힌 모아라우는 동그란 모양으로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 대만에서 자주 사용되는 ‘땅콩’
중국어로는 ‘땅콩’을 ‘花生(화셩)’이라고 합니다. 대만의 인기 디저트인 ‘떠우화(豆花)’의 토핑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땅콩 아이스크림(花生捲冰淇淋)’은 대만 관광지에서 꼭 먹어봐야 할 간식으로 꼽힙니다. ‘花生’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꽃(花)을 피운다(生)’는 뜻으로, ‘행운’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대만 춘절 기간 교통 및 영업 시간 정보
1. 교통 혼잡 예상 시기
-
고속철도: 춘절 기간에는 사전 예약이 필수입니다.
- 1월 23일 저녁~1월 24일 오후: 타이베이 → 남부/동부
- 1월 25일, 30일 종일: 전 방면 혼잡 예상
- 2월 2일 종일: 남부/동부 → 타이베이 방면
-
항공편: 1월 23일~2월 8일 기간에 공항이 평소보다 혼잡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월 23일~1월 26일, 2월 1일~2월 2일: 대만 입국 피크
- 1월 25일, 30일 종일: 전 방면 혼잡 예상
- 1월 30일 이후: 대만 출발 단기 여행자들의 귀국으로 혼잡 예상
-
고속도로: 춘절 기간에는 일부 구간 3인 이상 승차 차량만 통행 가능 등 일부 구간에서 교통 규제 실시
- 대표 교통 규제 구간: 국도 5호선 북쪽 방향, 국도 1호선・3호선 일부 북쪽 방향 입구
2. 주요 상점 운영 시간
- 백화점: 1월 28일(섣달그믐날) 단축 운영(17~18시까지), 1월 29일(설당일)은 연장 운영.
- 슈퍼마켓: 일부 단축 운영, 점포 공지를 미리 확인(예. 까르푸(家樂福) 28일 17시까지 단축 운영, 29일 1시간 늦은 10시 오픈)
3. 음식점 및 야시장
- ‘딘타이펑(鼎泰豐)’: 1월 28~29일 휴무.
- ‘마라(馬辣)’: 1월 28일 휴무, 1월 27일과 1월 29일 휴일 가격 적용
- 야시장: 예년 기준, 춘절에도 평소와 같이 운영. 개별 점포 휴무 일정 확인
대만 춘절 기간 여행 팁
춘절은 대만 최대 명절인 만큼, 평소와는 다른 상황을 예상하고 유연한 마음으로 여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소에 따라 설 분위기를 즐길 수 있으니 아쉬워하기보다는 즐겨보세요!
- 기온 변화가 크니 얇은 옷과 두꺼운 옷을 모두 준비하세요.
- 관광지와 교통이 혼잡합니다. 고속철도 및 기차 티켓은 미리 예약 후 이용하세요.
- 택시 예약 앱(tripool 등)을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단, 설 연휴 특별 요금이 적용됩니다.